5장 연관관계 매핑 기초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5장을 요약한 내용 입니다.
객체 관계 매핑(ORM)에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바로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블 연관관계를 매핑하는 일이다.
단방향 연관관계
객체 연관관계
회원 객체는
Member.team
필드로 팀 객체와 연관관계를 맺는다.회원 객체와 팀 객체는 단방향 관계다. 반대 방향인
team
→member
를 접근하는 필드는 없다.
테이블 연관관계
회원 테이블은
TEAM_ID
외래 키로 팀 테이블과 연관관계를 맺는다.회원 테이블과 팀 테이블은
양방향 관계
다.
다음은 반대인 팀과 회원을 조인하는 SQL이다.
객체 연관관계와 테이블 연관관계의 가장 큰 차이
참조를 통한 연관관계는 언제나 단방향
이다. 객체간에 연관관계를 양방향으로 만들고 싶으면 반대쪽에도 필드를 추가해서 참조
를 보관해야 한다. 하지만 정확히 이야기하면 이것은 양방향 관계가 아니라 서로 다른 단방향 관계 2개다.
객체 연관관계 vs 테이블 연관관계 정리
객체는
참조(주소)
로 연관관계를 맺는다.테이블은
외래 키
로 연관관계를 맺는다.
연관된 데이터를 조회할 때 객체는 참조를 사용하지만 테이블은 조인(JOIN)
을 사용한다. 객체는 참조
를 사용해서 연관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데 이것을 객체 그래프 탐색
이라 한다.
객체 관계 매핑
이제 JPA
를 사용해서 둘을 매핑 해보자.
Member.team과 MEMBER.TEAM_ID를 매핑하는 것이 연관관계 매핑이다.
@ManyToOne
: 이름 그대로 다대일(N:1) 관계라는 매핑 정보다.@JoinColumn(name="TEAM_ID")
: 조인 컬럼은 외래 키를 매핑할 때 사용한다.
@JoinColumn
@JoinColumn은 외래 키를 매핑할 때 사용한다.
속성 | 기능 | 기본값 |
name | 매핑할 외래 키 이름 | 필드명 + "_"+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 컬럼명 |
referencedColumnName | 외래 키가 참조하는 대상 테이블의 컬럼명 |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키 컬럼 |
foreignKey | 외래 키 제약조건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이 속성은 테이블을 생성할 때만 사용한다. | |
unique nullable insertable updatable columnDefinition table | @Column의 속성과 같 |
@JoinColumn 생략
기본 전략 : 필드명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컬럼명 예시 : 필드명(team) + "_" + 참조하는 테이블의 컬럼명(TEAM_ID) team_TEAM_ID
@ManyToOne
@ManyToOne 어노테이션은 다대일 관계에서 사용한다.
속성 | 기능 |
optional | false로 설정하면 연관된 엔티티가 항상 있어야 한다 |
fetch | 글로벌 페치 전략을 설정한다. 자세한 내용은 8장 참고 |
cascade | 영속성 전이 기능을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8장 참고 |
targetEntity | 연관된 엔티티의 타입 정보를 설정한다. 이 기능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제네릭으로 타입 정보를 알 수 있다. |
방향 관계
를 매핑할 때 둘 중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할지는 반대편 관계
에 달려 있다. 반대편이 일대다
관계면 다대일을
사용하고 반대편이 일대일
관계면 일대일
을 사용하면 된다. 참고로 일대일 관계는 다음 장에서 설명한다.
연관관계 사용
조회
연관관계가 있는 엔티티를 조회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객체 그래프 탐색(객체 연관관계를 사용한 조회)
객체지향 쿼리 사용(JPQL)
수정
실행되는 수정 SQL은 다음과 같다.
양방향 연관관계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외래 키
하나로 양방향
으로 조회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내용은 전혀 없다.
회원 엔티티에는 변경한 부분이 없다. 팀 엔티티를 보자.
연관관계의 주인
@OneToMany만 있으면 되지 mappedBy는 왜 필요할까?
객체에는 양방향
연관관계라는 것이 없다. 서로 다른 단방향
연관관계 2개
를 애플리케이션 로직으로 잘 묶어서 양방향인 것처럼 보이게 할 뿐이다.
엔티티를 양방향 연관관계로 설정하면 객체의 참조는 둘인데 외래 키는 하나다. 따라서 둘 사이에 차이가 발생한다. 이런 차이로 인해 JPA
에서는 두 객체 연관관계 중 하나를 정해서 테이블의 외래키를 관리해야 하는데 이것을 연관관계의 주인(OWNER)
이라 한다.
연관관계
의 주인만이 데이터베이스 연관관계와 매핑되고 외래 키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다. 반면에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할 수 있다.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한다는 것은 사실 외래 키 관리자를 선택하는 것이다.
연관관계의 주인은 외래 키가 있는 곳
연관관계의 주인은 테이블에 외래 키가 있는 곳으로 정해야 한다. 여기서는 회원 테이블이 외래 키를 가지고 있으므로 Member.team
이 주인이 된다.
양방향 연관관계의 주의점
양방향 연관관계를 설정하고 가장 흔히 하는 실수는 연관관계의 주인
에는 값을 입력하지 않고, 주인이 아닌 곳에만 값을 입력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 외래 키값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지 않으면 이것부터 의심해보자.
MEMBERID | USERNAME | TEAMID |
member1 | 회원1 | null |
member2 | 회원2 | null |
이는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닌 Team.members
에만 값을 저장했기 때문이다. 예제 코드는 연관관계의 주인인 Member.team
에 아무 값도 입력하지 않았다. 따라서 TEAM_ID
외래 키의 값도 null
이 저장된다.
순수한 객체까지 고려한 양방향 연관관계
객체 관점에서 양쪽 방향에 모두 값을 입력해주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양쪽 방향 모두 값을 입력하지 않으면 JPA
를 사용하지 않는 순수한 객체 상태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연관관계 편의 메소드
양방향 연관관계는 결국 양쪽 다 신경 써야 한다. 이전에는 member.setTeam(team)
과 team.getMembers.add(member)
를 각각 호출하다 보면 실수로 둘 중 하나만 호출해서 양방향이 깨질 수 있다. 양방향 관계에서 두 코드는 하나인 것처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정리
연관관계가 하나인 단방향 매핑은 언제나 연관관계의 주인이라는 점이다. 양방향은 여기에 주인이 아닌 연관관계를 하나 추가했을 뿐이다. 결국 단방향과 비교해서 양방향의 장점은 반대방향으로 객체 그래프 탐색 기능이 추가된 것뿐이다.
단방향 매핑만으로 테이블과 객체의 연관관계 매핑은 이미 완료되었다.
단방향을 양방향으로 만들면 반대방향으로 객체 그래프 탐색 기능이 추가된다.
양방향 연관관계를 매핑하려면 객체에서 양쪽 방향을 모두 관리해야 한다.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하는 기준
단방향은 항상 외래 키
가 있는 곳을 기준으로 매핑하면 된다. 하지만 양방향은 연관관계의 주인(Owner)
이라는 이름으로 인해 오해가 있을 수 있다. 비즈니스 로직상 더 중요하다고 연관 관계
의 주인으로 선택하면 안 된다. 비즈니스 중요도를 배제하고 단순히 외래 키 관리자 정도의 의미만 부여해야 한다. 따라서 연관 관계
의 주인은 외래 키의 위치와 관련해서 정해야지 비즈니스 중요도로 접근하면 안 된다.
양방향 매핑 시에는 무한 루프에 빠지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Member.toString()
에서 getTeam()을 호출하고 Team.toString()
에서 getMember()를 호출하면 무한 루프
에 빠질 수 있다.
일대다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팀 엔티티의 Team.members
를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선택할 수는 있다. 하지만 성능과 관리 측면에서 권장하지 않는다. 될 수 있으면 외래 키가 있는 곳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선택하자
질문
flush()를 사용할때나 안할때 왜 다를까?
lombok → toString, euqals 이슈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