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 25. 장애 진단은 이렇게 한다
자바 트러블슈팅: scouter를 활용한 시스템 장애 진단 및 해결 노하우를 챕터 25을 요약한 내용입니다.
진단 요청을 받았을 때(장애가 났을 때) 가장 먼저 할 일
장애 유형 확인(인터뷰나 메일을 통한 증상 확인)
시스템 기본 정보 확인
각종 데이터를 통한 원인 진단
원인이 발견되었을 경우, 장애 원인 제거 후 확인
진단 결과 보고서 작성(필요할 경우)
진단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장애의 유형을 살펴보는 것이다. 즉, 이책 1장의 장애 유형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보통 시스템이 느린 경우에는 단순히 "시스템이 느려요"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정확하게 어떻게 느린지에 대한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
구분
조사 내용
장애 현상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지에 대한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모니터링 시스템 여부
모니터링 시스템의 URL 또는 접근 방법 확인
Java 정보
자바 버전
JDK 설치 위치
웹 서버 정보
웹 서버 종류
웹 서버 설치 위치
웹 로그(access 로그) 위치
WAS 정보
WAS 종류
WAS 설치 위치
WAS 설정 파일 위치(온갖 설정 파일의 위치)
도메인 설치 위치(애플리케이션의 클래스 및 라이브러리, 화면 관련 파일의 위치)
로그 파일의 위치
DB 정보
DBMS의 종류
DB의 설치 위치
DB 관련 설정 파일 위치
기타 정보
연계 시스템 여부
연계 시스템의 위치
각 서버의 로그인 계정
작업할 장소의 IP
본격적인 진단 시작하기
세 번째 단계인 원인 진단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자. 진단 작업을 할 때, 가장 해피(happy)한 케이스는 다음의 경우다.
모든 시스템에 대해서 잘 알고 있는 똑똑하고 싹싹한 담당자가 옆에 붙어서 모든 질문에 대답을 해줄 수 있는 경우
모니터링 도구가 있는 경우
각종 로그가 잘 쌓여져 있는 경우
여기의 세 가지가 모두 준비되어 있다면 여러분들은 아주 행복한 거다. 이 단계의 작업을 수행할 때 중요한 것 중 하나는 작업의 흔적을 남기는 것이다. 여기서 흔적이라는 것들은 어떤 정보들을 확인했는지, 어떤 정보들이 의심이 되는지를 정리해 놓으라는 얘기다.
원인을 찾았을 때 또 한 가지 중요한 점은, 본인이 찾아낸 부분이 문제점의 원인이라고 절대 확신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해당 부분에 대한 수정을 가하고, 문제점이 다시 발생하지 않는다는 확인이 될 때까지는 적어도 그래야 한다.
각종 도구들을 사용해서 원인을 찾았다면 원인을 제거하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안으로 해결을 할 수도 있다.
팀 내에 있는 사수에게 문의해라
회사 내의 있는 기술지원팀에 문의하라
OS와 WAS의 벤더에 요청하여 문제점을 찾아 달라고 문의하자
구글링을 통해서 답을 찾아보자
전문 진단 컨설팅 업체에 문의하자
장애 원인 제거하고 결과 정리하기
장애의 원인이라고 지목한 부분을 수정하여쓰면, 반드시 운영 서버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고, 장애가 정말 사라졌는지 지켜봐야 한다. 장애의 원인을 제거하였다는 판단이 서면, 관련 팀이나 인원에게 이 사실을 통보하고 보고서 정리 작업을 수행한다.
구분
내용
증상
- 20XX년 XX월 XX일 14시 20분 갑자기 화장실에 가고 싶은 상황이 발생하였음
원인
- 점심 먹고 먹은 아이스크림이 문제인 것으로 판단
- 그 다음에 먹은 우유도 문제가 될 수 있음
해결 방안
- 화장실로 직행
- 양호실에 가서 소화제를 받음
- 상황이 더 안 좋아질 경우를 대비하여 조퇴하여 병원으로 직행
저자는 보통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보고서를 작성한다.
개요
장애의 증상과 시기
장애가 발생한 서버의 스펙과 사용 중인 소프트웨어의 버전
진단에 참여한 인원, 진단 기간, 사용한 도구
기타 각종 상황
진단 내역 및 원인
가장 효과가 많은 부분부터 작성
진단은 했지만, 문제가 없었던 부분은 필요할 경우 작성
장애의 원인. 가능하다면, 진단의 절차와 문제가 된 소스 코드나 부분에 대한 로그 파일의 내용 포함
해결 방안
반영 전과 후의 차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수치나 그래프
필요에 따라서는 수정한 소스 코드나, 수정 후 로그 파일의 내용
종합 의견
진단 내역과 반영 결과를 한 장에 정리
권고 사항
해당 장애와 많은 연관은 없지만,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정리
scouter를 사용한 장애 감지와 원인 파악
scouter를 사용할 때 알림 플로그인을 설정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장애 상황이 발생했을 때 모니터를 보고 있지 않아도 알림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scouter를 열었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해 봐야 하는 부분은 XLog와 Active Service EQ다. XLog는 현재 서비스의 응답 시간 현황을 한눈에 볼 수 있기 때문에 꼭 확인해 봐야 한다.
간단히 XLog에 어떤 패턴들이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자
상어 패턴
일반적으로 이러한 패턴은 특정 URL이 갑자기 많이 호출되었거나 다량의 데이터를 순간적으로 이 서버로 전송했을 때 나타난다.
파도 패턴
어떤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른 API 등을 호출할 때 타임아웃이 발생하고, 그때 다시 호출을 요청하는 경우 이와 같은 모양이 나타날 수 있다. 연계된 서비스를 확인해보자
ㅡㅡ 패턴
대부분의 경우 원격 저장소나 원격 서버의 연결이 불가능할 경우 Connection Timeout이 발생하면 이렇게 일직선이 나타나기도 한다. 요청량이 많은 서비스의 경우에 연결이 일부분 불가능할 수 있다.
운석 낙하 패턴
이러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오른쪽 상단에 있는 저 빨간 점이 장애를 발생시켰을 확률이 대단히 높다. 저 요청 하나가 들어오면서 WAS나 DB의 CPU 사용량을 점유할 경우, 다른 요청들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가 나타난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WAS를 재시작해 버린다면 장애의 원인은 영원히 알 수 없는 미제로 남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이 하나의 인스턴스에서 발생했다면 해당 인스턴스를 L4에서 제거하거나 웹 서버와 단절시켜 장애를 발생시킨 숙주가 근거를 남길 때까지 기다리는 것을 추천한다.
산불 패턴
빨간 점이 대량으로 발생한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Active Service EQ 그래프에 어떤 스레드들이 대기하고 있는지를 잘 확인해 보면 장애의 원인을 보다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크리스마스트리 패턴
다양한 원인이 있으니 하나씩 확인해보면서 해결할 수 밖에 없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