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장 객체와 자료 구조
클린 코드 6장을 요약한 내용 입니다.
자료 추상화
다음의 코드를 보자. 두 클래스 모두 2차원 점을 표현하였다. 그런데 한 클래스는 구현을 외부로 노출하고 다른 클래스는 두현을 완전히 숨긴다.
option 2는 자료 구조 이상을 표현한다. 클래스 메서드가 접근 정책을 강제한다. 좌표를 읽을 때는 각 값을 개별적으로 읽어야 한다. 하지만 좌표를 설정할 때는 두 값을 한꺼번에 설정해야 한다.
반면 option 1은 개별적으로 좌표값을 읽고 설정하게 강제한다. 변수를 private으로 선언하더라도 각 값마다 조회(get) 함수와 설정(set) 함수를 제공한다면 구현을 외부로 노출하는 셈이다.
변수 사이에 함수라는 계층을 넣는다고 구현이 저절로 감춰지지는 않는다. 구현을 감추려면 추상화가 필요하다.
자료/객체 비대칭
앞서 소개한 두 가지 예제는 객체와 자료 구조 사이에 벌어진 차이를 보여준다.
객체는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긴 채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한다. 자료 구조는 자료를 그대로 공개하며 별다른 함수는 제공하지 않는다.
다음 클래스를 살펴보자
이 클래스를 보고 절차적이라 비판한다면 맞는 말이다. 하지만 그런 비웃음이 100% 옳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둘레 길이를 구하는 permeter() 함수를 추가하고 싶다면?
도형 클래스는 아무 영향도 받지 않는다.
새 도형을 추가하고 싶다면?
Geometry 클래스에 속한 함수를 모두 고쳐야 한다.
절차적인 코드는 기존 자료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함수를 추가하기 쉽다. 반면, 객체 지향 코드는 기존 함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클래스를 추가하기 쉽다.
절차적인 코드는 새로운 자료 구조를 추가하기 어렵다. 그러려면 모든 함수를 고쳐야 한다. 객체 지향 코드는 새로운 함수를 추가하기 어렵다. 그러려면 모든 클래스를 고쳐야 한다.
다시 말해, 객체 지향 코드에서 어려운 변경은 절차적인 코드에서 쉬우며, 절차적인 코드에서 어려운 변경은 객체 지향 코드에서 쉽다.
디미터 법칙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는 법칙이다. 다시 말해, 낯선 사람은 경계하고 친구랑만 놀라는 의미다. 다음 코드는 디미터 법칙을 어기는 듯이 보인다.
기차 충돌
흔히 위와 같은 코드를 기차 충돌이라 부른다.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이 나누는 편이 좋다.
위 예제가 디미터 법칙을 위반하는지 여부는 ctxt, Options, ScratchDir이 객체인지 아니면 자료 구조인지에 달렸다. 객체라면 내부 구조를 숨겨야 하므로 확실히 디미터 법칙을 위반한다. 반면, 자료 구조라면 당연히 내부 구조를 노출하므로 디미터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잡종 구조
이런 혼란으로 때때로 절반은 객체, 절반은 자료 구조인 잡종 구조가 나온다. 잡종 구조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도 있고, 공개 변수나 공개 조회/설정 함수도 있다. 공개 조회/설정 함수는 비공개 변수를 그대로 노출한다. 이런 잡종 구조는 새로운 함수는 물론이고 새로운 자료 구조도 추가하기 어렵다.
구조체 감추기
만약 ctxt, options, scratchDir이 객체라면 어떻게 해야할까? 객체라면 내부 구조를 감춰야 한다. 그렇다면 임시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는 어떻게 얻어야 좋을까?
첫 번째 방법은 ctxt 객체에 고개해야 하는 메서드가 너무 많아진다. 두번째 방법은 getScratchDirectoryOption()이 객체가 아니라 자료 구조를 반환한다고 가정한다. 어느 방법도 썩 내키지 않는다.
이전 코드를 살펴보면 임시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를 얻으려는 이유가 임시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그렇다면 ctxt 객체에 임시 파일을 생성하라고 시키면 어쩔까?
객체에게 맡기기에 적당한 임무로 보인다. ctxt는 내부 구조를 드러내지 않으며, 모듈에서 해당 함수는 자신이 몰라야 하는 여러 객체를 탐색할 필요가 없다.
자료 전달 객체
자료 구조체의 전형적인 형태는 공개 변수만 있고 함수가 없는 클래스다. 이런 자료 구조체를 때로는 자료 전달 객체라 한다. 흔히 DTO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되지 않은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 사용할 객체로 변환하는 일련의 단계에서 가장 처음으로 사용하는 구조체다.
좀 더 일반적인 형태는 빈(bean) 구조다. 빈은 비공개 변수를 조회/설정 함수로 조작한다.
결론
객체는 동작을 공개하고 자료를 숨긴다. 그래서 기존 동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객체 타입을 추가하기는 쉬운 반면, 기존 객체에 새 동작을 추가하기는 어렵다.
Last updated